1. 서론
논문을 받는 법을 얘기해볼라고 합니다.
이게 세상 쉬운 얘기 같은데... 왜 소개를 하게 되었을까요?
대학원생이나 학부연구생 생활을 시작하는 친구들에게는
어려울 수도 있다보니 소개를 해봅니다.
또한 박사 이상 졸업하신 분들도 논문을 찾아내는 스킬이
차이나는 게 현실인 거 같습니다.
따라서 이번 글에서는 누구든지 논문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찾는
수단이나 방법을 제 경험에 기반해서 소개하고자 합니다.
이미 잘 하시는 분들은 도움이 크게 되지 않겠죵?
2. 방법
2.1. 논문 다운로드가 가능한 환경
논문을 받을 수 있는 인터넷 환경(학교, 도서관, 공공 연구소 등)이 필요합니다.
논문 중에는 오픈액세스(open-access)라고 누구든지 무료로 받을 수 있는
파일도 있지만, 이 세상 논문의 절반 이상은 유료입니다.
따라서 논문 서비스가 계약된 학교나 연구기관의 인터넷 환경에서 논문 다운로드
웹사이트를 찾아가는 게 가장 좋겠쥬?
2.2. 논문 받는 사이트로 가자
논문을 받을 수 있는 웹사이트는 국내와 국외로 나눌 수 있습니다.
국내 사이트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. 국문 연구나 학위논문, 학술대회 초록 등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지식을 담다. 지식을 나누다. 학술논문 전문 검색
지식을 담다. 지식을 나누다.
kiss.kstudy.com
http://www.riss.or.kr/index.do
www.riss.or.kr
본 글에서는 국외 위주로 소개를 하고자 하는데,
보통 국외 논문 사이트는 출판사별로 서비스가 제공됩니다.
첫째로 가장 흔히 추천할 수 있는 방법은 Elsevier사의 사이언스다이렉트입니다.
(대학원생은 그냥 외우세요ㅋㅋㅋ 논문 찾기는 사이언스 다이렉트)
추천하는 이유는 빠른 시간안에 좋은 학술지의 논문을 찾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.
ScienceDirect.com | Science, health and medical journals, full text articles and books.
Over 1.2 million articles on ScienceDirect are open access Articles published open access are peer-reviewed and made freely available for everyone to read, download and reuse in line with the user license displayed on the article.
www.sciencedirect.com
둘째로 추천하는 곳은 구글스칼라입니다.
저는 보통 사이언스다이렉트로 못 찾는 친구들을 찾기 위해서 구글을 대체방법으로 사용하거든요.
또한 우리 구글 빅브라더 형님 사이트에서 많이 검색해봐야 제게 맞는 논문을 잘 찾아줍니다.
scholar.google.co.kr/schhp?hl=ko
구글스칼라의 경우, 유료 논문 중에 일부 pdf 파일이 인터넷에 올라온 것들을 수집해서
공유해주기도 합니다. (그저 감사합니다)
2.3. 내가 좋아하는 학술지/출판사를 골라서 직접 검색하자
어느정도 이제 연구 경험이 있는 대학원생이나 연구자라면
자신의 주 전공이나 스킬과 관련있는 학술지(journal)를 알게 됩니다.
(동시에 그 학술지에 우리는 논문을 게재하고 싶죵...)
특히 어떤 학술지를 선택하여 검색하면 매우 디테일하게 해당 분야의
최신/기존 연구 사례를 빠르게 검색 가능합니다.
3. 결론 및 토의
저의 경험에 근거해서 논문을 효과적으로 찾아보기 위한 방법을 알아봤습니다.
제일 일반적인 방법은 주요 웹사이트를 즐겨찾기 해서 검색하고
어느정도 스킬이 늘면 본인이 관심있는 학술지에 직접 검색하는 방법이 추천됩니다.
물론 논문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환경이 되어야 겠죠~
그런데 논문의 키워드를 키보드로 직접 검색해서 최고의 리퍼런스를 찾는 것은
본인의 상당한 노력, 경험 그리고 센스가 필요한 일입니다.
다음에 토의할 내용입니다만,
가장 좋은 방법은 제 연구와 관련있는 논문이 저한테 알아서 기어들어오는(?) 것입니다.
다음에는 제가 관심있는 논문이 저한테 알아서 기어들어올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